Aug 13, 2018
- 시편은 모두 150편의 기도문으로 구성되어 있다. 각각의 기도문이 개별적으로 각자의 기도문/시/찬양을 기록한 듯 하지만, 150편 모두가 하나의 덩어리로 한 이야기를 하고 있기도 하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. 이 부분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이야기해보자.
- 보통 학자들이 이야기할 때, 바벨론 포로기 이후에 하나의 책으로서 시편이 finalized 되었다고 한다. 이 말은 결국 시편이 하나의 책으로서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것이다. 단순 짜깁기로 여러 종류의 노래와 기도문들을 묶어놓은 것이 아니고, 명확한 central theme을 시편 전체의 deliberate 하고 intentional 한 구성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를 갖고 있다는 말이다.
- 시편의 히브리어 책 제목은 "테힐림 (תְּהִלִּים)" 즉, "찬양들"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. 어떤 시편은 찬양보다는 lament에 가까운 기도문들도 많이 있는데, 책 전체의 책 제목은 "찬양들"이다. 시편의 앞부분에는 lament 시들이 많고 뒤로 갈수록, 특별히 마지막 5편(146, 147, 148, 149, 150편)의 시들은 대놓고 "찬양 시"들인 것을 봐서는, 시편이 궁극에는 무언가를(누군가를?) 찬양하는 책임을 알 수 있다.
- 시편은 Book 1(3-14편), Book 2(43-72편), Book 3(72-89편), Book 4(90-106편), Book 5(107-150편)로 구성되어 있다. 왜 굳이 5 parts로 나눴을까? 구약 안에 또 다른 5 parts book이 있지 않은가? Pentateuch이라고도 불리는 모세오경이 바로 그것이다. 히브리어로는 "토라"라고도 불린다. 토라와 시편 사이에는 어떤 관계성이 존재하는 것일까?
- 위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시편 1편과 2편의 이해와 해석이 crucial 한데, 신기하게도 이 두 시편에는 title이 없다. (참고로, 보통 한글로 시편을 읽을 때, title은 빼고 읽는 경우가 많은데, 각각의 시편을 제대로 해석하기 위해 title이 하는 역할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.)
- 그렇다면 첫 두 시편에 title이 없다는 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? 그것은 바로바로바로... 이 두 시편이 책 전체에서 하는 역할이 시편의 introduction의 기능을 한다는 것!!! 그리고 시편 전체를 어떻게 읽고 이해해야 하는지 direction을 제공한다는 것!!! 그렇기 때문에 이 두 시편은 세트로 함께 읽어야 하며, 올바른 해석이 필요하다. (주야로 말씀을 묵상해야 시냇가에 심기운 나무처럼 시절을 좇아 과실을 맺는 삶을 살 수 있다는 적용보다 더 깊이 나아갈 수 있어야 한다는 것!!!)
- 밥 할 시간이 되어서 오늘은 여기까지.... 이 글 과연 끝낼 수 있을까?
to be continued... (hopefully)
'From 오래전 블로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많이 늦은 미국 방문 후기 (3) (0) | 2019.04.22 |
---|---|
시편 37편과 "땅"이 주는 의미 (0) | 2019.04.22 |
시편 (1): 개요 준비 (0) | 2019.04.21 |
많이 늦은 미국 방문 후기 (2) (0) | 2019.04.21 |
많이 늦은 미국 방문 후기 (1) (0) | 2019.04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