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eb 5, 2018
- 성경 번역 감수 관련해서 로마서를 읽고, 통독과 큐티 본문으로 사도행전을 읽고 있는 요즘, 사도행전 13장 이후로 등장하는 바울의 긴 설교와, 로마서에 등장하는 바울의 theological explanation을 읽다 보니, 바울의 구약 해석에 대한 궁금증이 많아진다.
- 다윗의 시편과 이사야서와 하박국 등을 넘나들며 구약 내용을 인용하면서 다윗 언약, 예수의 주와 그리스도(메시야) 되심과 부활, 등을 이야기하는데, 막상 구약 본문을 찾아보면 “이게 그런 내용이야?”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(적어도 내 눈에는)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, 뭐랄까 뭔가 뿌연 느낌.
- 독하게 마음 먹고 따져보자면 바울의 구약 해석이 너무 억지는 아닌가? 자기 원하는 대로 끼어 맞추는 방식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.
- 예전에 SEBTS에서 Köstenberger 교수님의 Hermeneutics 수업 시간에 textbook으로 사용한 D. A. Carson 교수님의 “Exegetical Fallacies” 책에서 하지 말라는 모든 interpretative fallacy들을 바울 선생님은 그냥 다 해버린 것만 같은 기분.
- 그래서, Richard Hays 교수님의 Echoes of Scripture in the Letters of Paul을 읽어보려고 했는데, 아뿔싸, 오래전에 책을 주문하기는 했는데, 그게 미국 우리 집에 있다는… 그래서 킨들 책을 주문하려고 했지만, 이상하게 이 책이 킨들 버전이 없다. 오래된 책이라서 그런가?
- 결국 여기 저기 뒤져보다가 같은 저자의 “The Conversion of the Imagination: Paul as Interpreter of Israel’s Scripture”라는 책을 발견했다. 마침 킨들 credit도 넉넉하게 있어서 돈 안 쓰고 바로 구입 가능.
- 궁금하다, 책의 내용이. 빨리 읽어보고 싶다. 이스라엘의 성서 번역자(해설가?)로서의 바울이라니...
'From 오래전 블로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8년 가을(?) 성경 읽기 모임: 시편 (0) | 2019.04.21 |
---|---|
일상으로의 복귀 (0) | 2019.04.21 |
[book] "A Spirituality of Fundraising" by Henri Nouwen (0) | 2019.04.21 |
하나님의 공급의 방식 (3) (0) | 2019.04.21 |
Please Help Flood Victims (0) | 2019.04.21 |